본문 바로가기
건강

대장암 초기증상 원인

by 편한 2022. 2. 21.
반응형

오늘은 대장암 초기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장은 다른 장기와는 다르게 탄력이 좋아 대장암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질환입니다. 초기 증상에 경우 설사 혈변 변비 같은 증상을 보여 혈변을 보지 않는 이상 초기에 발견해서 조기에 치료가 쉽지 않은 질환입니다.

 

대장암 초기 증상

대장암의 경우 대장에 암세포가 증식해 대장 내벽에 혹을 만들어서 몸을 병들게 하는 질환입니다. 대장에 생긴 용종으로 인해서 생기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대장암은 발생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가장 위험하고 치명적인 질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장암 초기 증상은 아래에 설명하겠습니다.

1. 변비

변비와 설사는 대장 세포에 문제가 생긴 것일 확률이 높습니다. 대변을 본 뒤에도 불쾌감이 느껴지거나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대변이 나오는 경우 속적으로 설사를 하는 경우에는 대장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서 변비가 생기거나 설사를 할 수 있으나 대장암은 조기에 발견하지 못할 경우 위험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혈변

혈변을 보는 경우 대장이나 소화기관에 문제가 생겨서 혈변을 볼 수도 있지만 대장 내에 종양이나 용종이 출혈을 유발해 혈변을 볼 수 있습니다. 혈변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위염 대장염 크론병 등이 있으며 만성 변비를 앓고 있는 경우 ㄷ애장 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빈혈

산소를 몸 전체 세포로 전달하는 적혈구의 감소로 인해서 빈혈을 유발하게 되는데 대장암이 생긴 경우 빈혈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빈혈이 생긴 경우 피로감과 어지러움증을 많이 호소하며 숙면을 취해도 피로가 사라지지 않습니다. 숙면을 취했는데 계속 피곤하고 어지러운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빈혈 일수 있으니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복통

소화 불량이나 위장 질환으로 복통을 유발하기 때문에 대장암의 초기 증상으로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복통의 경우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서 통증이 생기기 때문이죠 하지만 극심한 고통과 지속적인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대장암의 증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대장암이 생긴 위치에 따라서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며 대장이 상행결장에 생긴 경우 통증을 유발합니다. 만약 지속적으로 통증을 느끼고 더부룩함이 지속되는 경우 대장에 종양이 생긴 것일 수 있습니다.

5. 체중감소

다평 소와 똑같이 먹는대 점차 살이 빠지는 경우에는 대장암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체중변화는 몸에 생긴 이상 증상을 나타내는 신호로 이유 없는 체중감소의 경우 소화기관에 문제가 생긴 것일 확률이 높습니다. 다이어트를 하고 있는 사람에 경우에는 알 아차리가 쉽지 않으나 식욕이 감소하고 이유 없는 피로감이 쌓이는 경우에는 꼭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6. 구토

구토는 소화가 안될 때 자주 나타나는 증상으로 소화기관에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구토 후 증상이 호전되지만 소화기관에 생긴 문제로 인해서 구토를 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구토감을 느끼게 되고 속이 더부룩함을 호소합니다. 이 경우에는 위장질환의 문제나 대장암의 초기 증상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대장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활동해 위산을 과다하게 분비해 구토를 유발하고 식욕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7. 복부 팽만감

대장암이 생긴 경우 장내에 과도하게 가스가 차면서 복부가 팽만 해질 수 있습니다. 고구마 계란 같은 가스를 유발하는 음식을 섭취했을 때에도 복부 팽만감을 느낄 수 있지만 대장암으로 인해 팽만감을 느끼는 경우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장암은 초기에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질환으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초기에 증상을 알아차리지 못하면 사망률이 굉장히 높아지는 암중 하나로 빠른 치료가 생존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수술이 까다롭고 재발할 수 있으니 초기 증상을 보시고 공통된 부분이 있다면 빠르게 병원에 방문해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대장암 초기 증상 원인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